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Fin-Tech. CONTENTS 4. Fin-Tech 산업의 현황 1.Fin-Tech의 정의 3. Fin-Tech 산업의 분류 2. Fin-Tech 산업의 성장배경.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Fin-Tech. CONTENTS 4. Fin-Tech 산업의 현황 1.Fin-Tech의 정의 3. Fin-Tech 산업의 분류 2. Fin-Tech 산업의 성장배경."— Presentation transcript:

1 Fin-Tech

2 CONTENTS 4. Fin-Tech 산업의 현황 1.Fin-Tech의 정의 3. Fin-Tech 산업의 분류 2. Fin-Tech 산업의 성장배경

3 1. Fin-Tech의 정의 ▶Fin-Tech는 Finance와 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 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한다.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결합하여 전통적인 금융거래 방 식과는 차별화 되거나 편리한 형태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금융서비스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하는 기술 혁신 사례 - 애플페이, 삼성페이 등

4 2. Fin-Tech 산업의 성장배경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금융업무 시, 공 간적 제약이 사실상 사라지면서 금융업의 흐름에도 커다란 변 화가 일어남 ①핀테크는 IT, 모바일 기술의 발달을 바탕으로 새롭고 다양한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큰 역할을 함 ②금융위기 이후 금융기관의 대안으로 핀테크가 떠오르기 시작 ③핀테크가 침체된 경기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기 시작

5 3. Fin-Tech 산업의 분류 영역내용대표사업자 송금결재 이용이 간편하면서도 수수료가 저렴한 지급결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편의성을 제고 페이팔, 스트라이프 금융데이터 분석 개인 또는 기업 고객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어펌, 빌가드 금융 S/W 보다 진화된 스마트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방식 보다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금융업무 및 서비스 관련 S/W 제공 웰스프론트, 민트 플랫폼 전 세계 기업과 고객들이 금융기관의 개입 없이 자유롭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다양한 거래기 반을 제공 렌딩클럽, 캐비지

6 3. Fin-Tech 산업의 분류 ▶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구분 ( 핀테크 산업 분류 ) ( 한국정보산업연합 분류 )

7 3. Fin-Tech 산업의 분류 ①기능에 따른 분류 IT 조사, IT 조사, 분석 업체인 벤처스캐너 (Venture Scanner) 에서는 매년 핀테크 기업들을 조사해 분류하고 있다. 결제 및 송금: 지급 결제, 송금 대출 및 자금 조달: 대출, 자본 조달, 크라우드 펀딩, 소비자 금융 자산 관리: 개인 자산 관리, 개인 투자, 기관 투자 금융 플랫폼: 비즈니스 도구, 금융 조사, 금융 인프라

8 3. Fin-Tech 산업의 분류 비즈니스 모델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②핀테크 기업들이 어떻게 수익을 얻는지에 따라서도 분류가 가능하다. 다음은 영국 무역투자청(UK Trade & Investment)에서 분류한 체계 지급 결제(payments): 간편하고 저렴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수료 부과 데이터 분석(data and analytics): 개인 또는 기업 고객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 터를 수집, 분석하며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금융 소프트웨어 시장(financial software market):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금융 업무 및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 제공 플랫폼(platforms):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다 양한 거래 기반 제공

9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1 전 세계 핀테크 시장현황 ▶2016년 1분기, 전세계 핀테크 업계 투자규모 전년대비 67% 증가 ▶최근 감소세에 있던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지 난 2015년 2분기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 그러나 2016년 1분기에는 지난 분기 대기 22% 증가하면서 반등

10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2 국내 핀테크 시장현황 1)불명확하고 포괄적인 규제 및 지나치게 세부적인 기술 지침 등으로 인해 혁신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과 핀테크 시장의 진출이 어려운 상황 2)발달한 디지털 금융환경이 혁신적인 핀테크에 대한 니즈를 상쇄하는 측면이 있지 만 엄격한 진입장벽과 혁신을 저해하는 불명확한 지침, 규제가 또 다른 주요 원인 3)선진국에 비해 높은 규제 장벽으로 IT와 금융시스템의 융합이 느리게 진행되어 왔으 며 사업등록요건, 보안규정 등이 걸림돌로 작용 간편 결제 활성화와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 및 Active-X 사용 규제 등 규제를 완화 하고 핀테크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형태로 정책 변화가 진행 중이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11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2 국내 핀테크 시장현황 간편 결제 활성화와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 및 Active-X 사용 규제 등 규제 완화와 핀테크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형태 정책 변화의 예 ①정체된 금융 산업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핀테크 서비스 창출을 위해 규제 수준을 낮 추고 오프라인 금융제도를 개선하는 IT금융 융합 지원 방안 도입 ②핀테크 기업이 주도하는 인터넷 전문은행을 가로 막았던 금산분리 규제도 관련 제도 마련 및 공청회를 거쳐 제도 개선 진행 중 ③핀테크 산업의 진입장벽의 완화 효과는 있겠지만 규제 완화에 따른 보안 문제가 크게 우려 되며 이를 대비하고 대체할 수 있는 보안 체계를 마련 중

12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2 국내 핀테크 시장현황 [핀테크 관련 정책 완화 계획 - 금융위원회] 전자금융규제 패러다임 전환핀테크 산업 성장지원 ⦁사전 규제 최소화 ⦁기술중립성 원칙구현(특정기술 사용 의무화 폐지) ⦁책임부담 명확화 ⦁규제 예측성 제고 ⦁핀테크 지원체계 구축 ⦁핀테크 기업 자금조달 지원 ⦁전자금융업 진입장벽 완화 ⦁전자지급수단 이용 활성화 ⦁전자금융업종 재설계 오프라인 위주의 금융제도 개편금융 보안을 토대로 한 금융소비자 보호 ⦁한국형 인터넷 전문은행 모델 수립 ⦁크라우드 펀딩 활성화 ⦁온라인 판매채널 활성화 ⦁빅데이터를 활용한 온라인 금융 산업 기반 지원 ⦁결제분야 낡은 규제 정비 ⦁금융권 자율보안체계 구축 ⦁정보보호 및 금융보안 입법 노력 강화 ⦁온라인 채널의 불완전판매 방지

13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2 국내 핀테크 시장현황 4) 규제 완화 분위기와 맞물려 지급결제와 관련한 기업들뿐만 아니라 게임, 포털, S/W, IT서비스 및 단말 제조사 등이 시장에 진출 Ex) 다음카카오, NHN엔터테인먼트, 네이버 등이 온라인 쇼핑 결제프로세스를 간소화한 간편 결제 및 송금서비스에 진출하기 위해 관련 기업을 인수하거나 투자를 확대중 5) 다양한 핀테크 업체들의 등장과 함께 금융기관들도 IT금융 융합형 서비스 발굴을 위해 핀테크 전담부서를 구성

14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2 국내 핀테크 시장현황 6) 정부에서는 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해 사전 규제(‘보안성 심의’) 폐지하고, 제한 금융보안 규제완화를위해 액티브X, 공인인증서 사용의무 규정 철폐하였다. 7)한국형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 금융위원회는 ICT ‧ 금융 부문간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혁신과 은행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 한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방안’을 발표(‘15.6)하였다. 한국카카오은행과 케이벵크은행이 조건부 예비 인가 선정(‘15.11.30)하였다. 예비인가 은행은 개별적으로 본인가 신청(‘16년 하반기 예정) : 금융위원회로부터 본인가를 받아 으면 원칙적으로 6개월 내 영업을 시작해야한다.

15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2 국내 핀테크 시장현황

16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2 국내 핀테크 시장현황 [ 핀 테크 관 련 국 내 기술현황표] 구분업체/기술 현황 지급결제 삼성페이(H/W 기반) 카카오페이, 라인페이(앱 기반) 비바리퍼블리카(TOSS), 한국 NFC (스타트업) - 해외 : 애플페이 등 다수 금융데이터 분석 국내 시장 사실상 접근 불가 - 신용평가는 신용평가 기관이 직접 수행 - 해외 : 비주얼DNA, 온덱(OnDeck) 금융 소프트웨어 정부에서 FDS(사기거래탐지) 도입을 금융회사에 요구 - 해외 : 비자, 마스터카드 등 플랫폼 LG CNS, SK C&C - 해외 : 렌딩클럽(P2P대출), 민트, 웰스프론트(개인 자산관리), 페이팔

17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3 국외 핀테크 시장현황 4.3.1. 미국 1) 州 정부의 인가감독 하에 MSB(자금서비스업자) 형태로 핀테크 영역을 규제하고 있 지만 예측 가능한 규제로 인해 핀테크의 진출과 시장 활성화에 일조 은산 분리제도와 각 주별로 다른 자금송금관련 허가제도 뿐만 아니라 자금 세탁방지 의무 준수 등을 통해 핀테크 영역에서의 금융규제를 유지해 옴 특히 송금, 이체, 신불, 외환 등과 관련한 자금서비스업자는 원칙적으로 재무부에 등록하고 연 방 및 주감독기관의 의해 관리와 통제가 이루어짐 그렇지만 네가티브 방식제도와 비조치 의견서를 활용해 규제의 예측가능성을 높임으로써 다양 하고 혁신적인 핀테크 서비스가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조성 또한 인터넷전문은행은 엄격한 은산 분리제도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초반에 예외적으로 허 용함으로써 다양한 경제주체의 참여를 통한 경쟁과 효율성 제고를 추진

18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3 국외 핀테크 시장현황 4.3.1. 미국 2) 실리콘밸리, 뉴욕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핀테크 허브가 크게 발달하였으며 인력과 자본이 모 이면서 글로벌 시장을 주도 정부 주도의 핀테크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영국과 달리 실리콘밸리와 우수한 금융 인력이 집결해 있는 뉴욕을 중심으로 핀테크 허브가 조성되면 빠르게 발전 중 구글, 애플, 페이팔, 페이스북 등 기존 IT기업 뿐 만 아니라 유망한 핀테크 스타트업들이 참여하면서 가장 많은 투자자금이 몰리며 미국 핀테크 산업이 활성화

19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3 국외 핀테크 시장현황 4.3.2. 영국 1) 유럽 금융시장의 패권 확보 차원에서 관련 규제 완화 등 정부 주도의 생태계 조성 에 힘을 기울이면서 인력과 자금이 모이는 핀테크 허브로 급부상하고 있다. 핀테크 분야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해 금융감독청(FCA) 내 핀테크 지원전담조직을 설치하고 핀테크 업체의 규제환경에 대한 조기적응을 지원 혁신적 기업 창업을 위한 투자자 세제혜택, 오픈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업 지원 정책 등 핀테 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규제를 완화하고 제도를 마련 또한 재무부, 무역투자청 등 전 부처 간 협력을 통해 금융혁신을 위한 제도, 자금, 인프라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계획을 통해 유럽 금융 센터로서의 위상을 강화

20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3 국외 핀테크 시장현황 4.3.2. 영국 2) 민간차원에서 핀테크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기관과 창업지원 그룹이 주축이 된 ‘핀테크 혁신랩’과 ‘Level39'등 창업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다. 바클레이즈, 로이드그룹 등 금융회사들과 50개 이상의 창업 엑설러레이터로 구성된 핀테크혁 신랩은 유망한 핀테크 기업을 선정해 행정, 경영자문, 테스트베드를 제공 또한 테크시티와 달리 핀테크에 특화된 ’Level39'는 금융회사 밀집 지역 내에서 핀테크 업체들을 지원하며 창업의 부담(임대료, 기술 투자 비용)을 최소화 이로 인해 영국이 핀테크 스타트업의 중심지로 부상 중이며 관련 투자와 인력 및 기술력 있는 업체가 몰리면서 발전 속도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

21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3 국외 핀테크 시장현황 4.3.3. 중국 1) 지금 현재 중국 모바일 결제 규모 2014년 기준 8조 위안이상이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의 발표에 따르면, 중국 내 인터넷 사용자 수가 지난 2015년 12 월 말 6억 8826만 명을 기록해 보급률이 50.3%로 집계되었다. 1년 전 보다 4,000만명 가까이 증가

22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3 국외 핀테크 시장현황 4.3.3. 중국 2) 중국은 금융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자율적인 형태의 시장조성과 혁신 창출에 도움 을 줄 수 있는 최소한의 규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중앙은행(중국인민은행)을 통해 자금서비스업 인가를 통제하며 사업자들의 의무 준수를 위한 감독, 관리를 엄격하게 시행하고 있으나 모바일 결제 등 핀테크와 관련한 지침을 명확히 함으로써 불투명한 규제로 인한 혁신 지연을 최소화 국유은행 중심의 대기업 중심 금융시스템에 효율성을 높이고자 알리바바, 텐센트 등 5개 비금융 업자에게 민영은행의 설립을 허가하고 경쟁은 촉진 또한 내수 활성화와 음성적인 민간 금융의 양성화 차원에서 온라인 상거래의 주요 수단인 알리페이 및 온라인 P2P대출과 같은 핀테크를 육성 지원하는 정책을 지속

23 4. Fin-Tech 산업의 시장현황 4.3 국외 핀테크 시장현황 4.3.3. 중국 3) 알리바바, 텐센트 등 지급결제 뿐만 아니라 P2P대출 등에서 업체가 빠르게 증 가하며 시장 및 거래 규모가 급속히 성장 온라인 쇼핑에서 신용거래가 어려운 낙후된 지급결제시스템을 에스크로우 형태로 보완한 알리 페이는 중국의 대표적 핀테크 업체로 ‘13년 결제금액만 650조원에 달함 또한 알리페이 계좌와 연계된 투자 상품 위어바오(MMF펀드)는 ‘13년 출시 이후 2년 만 에 94조원을 모집하며 전 세계 4위 MMF로 성장 온라인 P2P업체도 ‘09년 9개 수준에 불과했으나 ’14년 1,540개에 이를 정도로 폭증하 였으며 이는 소액 금융에 대한 기회 및 IT비용 부담의 완화에 기인 이로 인해 중국 온라인 P2P를 통한 자금 거래량은 ‘14년 상반기에 134억 달러에 이를 정도로 증가했으며 알리바바와 징동샹련(JD.com)도 참여하며 확산될 예정 한편 P2P대출, 온라인 결제뿐만 아니라 IT업체의 인터넷전문은행도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개 시하면서 중산층과 서민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금융서비스를 확대 중

24 Thank You &


Download ppt "Fin-Tech. CONTENTS 4. Fin-Tech 산업의 현황 1.Fin-Tech의 정의 3. Fin-Tech 산업의 분류 2. Fin-Tech 산업의 성장배경."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